응 괜찮아,

03. 아파치 톰캣과 이클립스 연동 본문

IT/Spring

03. 아파치 톰캣과 이클립스 연동

응 괜찮아, 2021. 2. 9. 21:11
728x90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

스프링 놀이 시간이 다가왔습니다 짝짝짝

 

지난번엔 스프링 프로젝트(Spring Project)를 로컬 PC에서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아파치 톰캣(Aapache Tomcat)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었는데요.

 

이번엔 이클립스와 지난번 설치한 톰캣을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발 툴(Develpment Tool)을 이클립스로 사용하실 분만 따라오세용.


1. 이클립스 설치 & 실행

이클립스 설치가 안된 분들은 아래 포스트↓↓를 보면서 설치부터 진행해주시기 바랍니다.

이클립스 설치가 끝난 분들은 이클립스를 실행시켜 주세요.

 

2021/02/05 - [개발도구] - 03. 이클립스(Eclipse) 2020-03-R 설치방법

 

03. 이클립스(Eclipse) 2020-03-R 설치방법

오늘은 지난 번 포스팅했던 이클립스 Photon 버전에 이어 2020-03-R 버전을 설치해보려구 합니다. 이클립스 Photon 버전 설치방법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https://itsokay92.tistory.com/14​ 02. 이클립스(Eclip.

itsokay92.tistory.com

 

2. 이클립스에서 톰캣 환경 구성

[Window] 탭 → [Preferences] 를 선택해주세요.

 

 

Preferences 창이 뜨는데 검색 영역에 "Server"라고 입력해주시면 "Server" 단어가 포함된 설정들이 쭈르륵 나오는데요.

여기서 "Runtime Environments"를 선택해줍니다.

 

 

[Add] 버튼을 클릭합니다.

 

저는 지난번 포스트에서 Apache Tomcat 8.5.63 을 설치했으므로 "Apache Tomcat v8.5" 를 선택해줬는데요.

다른 버전의 톰캣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실행하시고 싶다 하시면, 원하시는 버전의 톰캣을 선택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제 톰캣을 선택하셨으면 [Next >]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톰캣 관련하여 입력하는 항목들이 나오는데요. 

"Name" 입력란에는 톰캣 이름 아무거나 적으시면 되고 (저는 자동 입력된 그대로 그냥 두었습니다)

"Tomcat installation directory" 입력란에는 설치한 톰캣 경로를 직접 적어주시거나 [Browse...] 버튼을 눌러 윈도우 탐색기처럼 나타난 창에서 선택해가며 톰캣 경로를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Browse...] 버튼을 눌러서 아래와 같은 윈도우 탐색기 창을 마주했습니다. 이 창에서 PC에 설치한 톰캣 폴더를 선택하고 [폴더 선택] 버튼을 눌러주세요.

 

 

톰캣은 Java 기반으로 동작되므로 [JRE] 항목에 있는 빨간색 표시부분을 클릭하여 로컬 PC에 설치한 Java 버전을 선택해주세요.

그리고 [Finish]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지금까지 잘 따라오셨다면 아래 그림처럼 목록에 톰캣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pply and Close] 버튼을 눌러주세요.

 

 

3. 톰캣 실행

이제 톰캣으로 스프링 프로젝트를 실행시켜 보겠습니다.

[Server] 뷰(View)에서 "No servers are available. Click this link to create a new server...."를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아래 팝업창이 뜨는데요. 전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Tomcat 8.5.63을 설치했고 사용할 예정이므로 Aapache 폴더 밑에 있는 "Tomcat v8.5 Server"를 선택하겠습니다.

Server's host name, Server name, Server runtime environment 항목은 아래를 의미하므로 참고하셔서 입력 또는 선택해주신 후 [Next >] 버튼을 눌러주세요.

 

Server's host name: 서버 띄울 PC의 호스트명. 로컬 PC에서 톰캣 서버 실행할 경우 "locathost" 입력

Server name: 톰캣 서버 이름. 자유롭게 입력

Server runtime environment: 톰캣 서버 실행 환경. "2. 이클립스에서 톰캣 환경 구성"에서 구성한 서버 환경 선택

 

[Available] 영역에서 실행할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Add >]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아래 그림처럼 지금까지 띄워져있었던 팝업창이 닫히면서 [Server] 뷰에 앞서 생성한 톰캣이 보여집니다.

빨간색 표시 부분을 눌러 톰캣 서버를 실행해주세요.

 

 

그러면 톰캣 서버 상태가 [Stopped, Republish]에서 [Starting, Synchronized]로 바뀌게 됩니다.

 

 

[Console] 뷰로 들어가보면 스프링 프로젝트를 톰캣으로 띄우면서 생기는 로그들이 나오는데, 이 로그들도 살펴보면 아주 재밌습니다.

이건 나중에 시간내어서 한번 설명드리겠습니다.

 

 

톰캣 서버 구동이 완료되면 서버 상태가 [Starting, Synchronized]에서 [Started, Synchronized]로 바뀌게 됩니다.

[Server] 뷰에 있는 서버 이름을 더블클릭해주면, 아래 그림처럼 서버 구동 환경설정의 [Overview] 탭이 보여지는데, 여기서 먼저 HTTP/1.1 포트가 "8080"으로 되어있는 것만 확인하고 넘어가겠습니다.

 

[Modeule] 탭으로 넘어가면 실행시킬 프로젝트의 Path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꺼는 "/myspring"으로 되어 있네요.  

 

 

이제 이 Path를 참고하여 프로젝트를 웹 브라우저로 띄워보겠습니다.

Chrome, IE 등 원하는 웹 브라우저를 열어서 주소 입력창에 아래 주소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눌러주시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localhost:8080/myspring        <= 호스트명:포트/프로젝트Path


여러분 여기까지 잘 따라오셨나요?

안되시는 부분이 있거나 모르시는 부분이 생기시면 댓글에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고생하셨습니다!!

 

728x90
Comments